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최저임금 시급 및 연봉 계산 방법

by 위트위트 2025. 1. 12.


2025년 최저임금이 발표되었습니다. 최저임금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놓치지 않기 위해, 오늘은 2025년 최저임금(시급) 및 연봉 계산 방법, 그리고 4대보험 요율까지 한 번에 정리해보겠습니다.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에게 꼭 필요한 정보이니 끝까지 읽어보세요!

최저임금이란?

최저임금은 국가가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법적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강제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근로자의 삶의 질을 보장하고, 사회적 불평등을 완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2025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03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이는 작년 대비 2.5% 오른 금액으로, 역대 두 번째로 낮은 인상률입니다.


2025년 최저임금 계산: 시급, 월급, 연봉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근무시간에 따른 임금을 계산해보겠습니다.

  1. 일급 계산
    • 1일 8시간 근무 시:
      10,030원 × 8시간 = 80,240원
  2. 월급 계산 (주휴수당 포함)
    월 소정근로시간(209시간)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10,030원 × 209시간 = 2,096,270원
  3. 연봉 계산
    월급을 12개월로 곱하면:
    2,096,270원 × 12개월 = 약 25,155,240원
  4. 주급 계산 (주휴수당 포함)
    주 8시간 × 6일 근무 기준:
    80,240원 × 6일 = 481,440원

이처럼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월급과 연봉을 손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2025년 4대보험 요율 정리

4대보험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으로 구성됩니다. 급여에서 공제되는 비율과 금액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2025년 요율을 살펴보겠습니다.

 

  1. 국민연금 (9%)

     
    • 2025년 국민연금 요율은 최대 10%로 인상될 예정이에요.
    •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4.5%씩 부담.
    • 예: 월급 2,096,270원 기준 → 94,332원 공제 (근로자 부담분).
  2. 건강보험 (7.09%)

    • 건강보험: 7.09% (동결)
    •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3.545%씩 부담.
    • 예: 월급 2,096,270원 기준 → 74,311원 공제 (근로자 부담분).
    • 물가와 재정 여건을 고려해 올해 건강보험료는 인상되지 않았네요.
  3. 고용보험 (1.8%)
    • 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0.9%씩 부담.
    • 예: 월급 2,096,270원 기준 → 18,867원 공제 (근로자 부담분).
    • 2024년과 동일한 수준으로 유지된답니다.
  4. 산재보험
    • 사업주만 전액 부담 (근로자는 부담하지 않음).

👉 합계: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의 총 부담금은 약 187,510원입니다.


4대보험 계산기 사용법

4대보험 계산기를 활용하면, 자신의 월급에서 정확히 얼마나 공제되는지 간단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검색
    네이버 또는 포털 사이트에서 "4대보험 계산기"를 검색하세요.
  2. 정보 입력
    급여와 직원 규모를 입력하면, 공제 항목별 금액이 자동 계산됩니다.
  3. 결과 확인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소득세 등 항목별로 부담 금액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계산기를 활용하면 복잡한 계산 없이도 자신의 실수령액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5년 최저임금과 4대보험 요율, 꼭 알아두세요!

 

 

2025년 최저임금은 작년 대비 소폭 인상되었지만, 주휴수당을 포함한 급여와 4대보험 요율을 미리 파악해두면 실수령액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습니다.특히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에게 중요한 4대보험 요율과 공제 금액은 정확히 알고 있어야 불필요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겠죠?

 

최저임금과 4대보험 계산기를 활용하여, 나의 실수령액과 공제액을 미리 계산해보세요!